고전요가(요가수트라)와 후기요가(하타요가)와의 차이점과 공통점
요가수트라와 하타요가의 차이점과 공통점 정리
성립 배경 비교
고전요가 (요가수트라)
후기요가 (하타 요가)
1) 저 자
(1) 빠딴잘리로 추정
- 기원전 2세기경의 문법가 빠딴잘리와 동일성은 희박함
(1) 이 요가의 창시자는 고라크샤나타 로 전해옴
2) 구성과 성립연대
(1) 구성 : 4장 195절로 되어있슴
제 1장,삼매품(51절)-총론
제2장, 실수품(55절)- 외부적인 수행법
제3장, 초능력품(55절)-내부적인수행법
제4장, 독존품(34절)- 업보,윤회,해탈
(2)성립연대 : 요가경은 2~5세기 사이에 편집되었고, 제4장만 540년 이후에 첨가된 것으로 추측한다.
(1)하타요가 수행법 요가경전은 21개의 요가 우빠니샤드를 비롯 약50여종이 있다
(2)하타요가의 주요경전
- 하타요가 쁘라디 삐까: 4장 398절
- 시바 상히타 : 5장 645절 구성
- 게란타 상히타 : 7장 351절 구성
(3)성립연대 : 9~10세기경 창시한 것으 로 전해옴
3) 다른사상의 영향
(1) 불교는 요가 수트라와 가장 밀접한 사상이다.
-불교는 발생 초기에는 요가의 영향 을 많이 받았지만, 요가수트라가 성 립 되는 단계에서는 불교가 오히려 요가에 사상과 술어에 영향을 끼침
(2) 상카철학과 밀접한 관계
-일반적으로 요가는 상카의 형이상학에 바탕을 둔 실천철학이다
-이론과 실천이라는 점에서 보면 두 사 상은 상호 보완하는 긴밀한 관계이다.
(1) 하타요가의 사상적 배경은 딴뜨리즘 이다.
-딴뜨라는 지식을 넓힌다 는 뜻과 함께 경전이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.
(2) 딴뜨라는 실천운동
-대우주와 소우주(세계와 인간)가 본래 하나라는 인도의 전통적인 사고로 돌 아가자는 실천운동이다.
(3) 딴뜨리즘은 인체의 중요성 강조
-육신은 더 이상 고통의 근원이 아닌, 죽음을 정복 할 수 있는 가장 확실 하 고 효과적인 도구이다.
-딴뜨리즘의 육체관은 하타요가에 그대 로 수용되어 인간의 몸속에 바로 신성 이 있다고 하는 하타요가의 육체관이 성립하게 되었다.
수행체계의 비교
구 분
고전요가 (요가수트라)
하타요가
1) 요가의 정의
(1) 요가는 마음의 작용을 멈추고 소멸 시키는 것이다.
(2) 마음과 마음작용 이란
(마음)
-현상으로 나타나는 의식상태 만을 의 미하지 않고 인간의 모든 경험이 기억 의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창고와 같으 며 경험이 저장 되었다가 기회가 오면 활동하는 잠재력이 남아 있는 기관이 다.
(마음의 작용)
-작용은 마음이 의식의 표면으로 나타 난 것이다.
-마음의 작용에는 바른지식, 오류, 분 별, 수면, 기억의 다섯 종류가 있다.
-요가 심리학은 심리현상에서 오는 괴 로움 에서 벗어 나기위한 체제이므로 마음작용의 나열 순서도 바른지식을 제외하고는 삼매의 단계에 따라 억제 되는 순서대로 설명하고 있다.
(1) 하타는 음양의 합일을 의미하고 호흡 조절을 통해서 마음을 외계대상으로부 터 내면으로 향하게 하는 것이다.
-태양과 달이 결합 할 수 있도록 호흡 과 무드라를 강렬하게 해야 한다.
(2) 특징
- 살아있는 육체를 소중히 생각하고 욕 망을 무조건 죄악으로 보거나 억압하 지 않기 때문에 심신의 건강과 아름다 움 또는 장수하기 위한 섭생을 중요하 게 생각한다.
-세속적인 향략, 부귀, 행복, 사랑 등의 욕망을 무조건 배제 하지 않고 이것을 통해서 한차원 높은 경지를 추구한다.
-인간을 이 대우주의 축소판인 소우주 로 보기 때문에 인간은 대우주가 갖추 고 있는 모든 것을 갖추고 있으며, 언 제가는 대우주와 합일 할수 잇다.
-하타요가는 완전한 육체를 수단으로 자아실현 하려는 행법이다.
-육체에 중점을 두어 체위법과 호흡법 을 수행의 중심으로 한다.
2) 수행체계
(1) 윤리적 수행단계
①금지계 (5가지) - 불살생
- 살생하지 않을것
- 정직 할것
- 도둑질하지 않을것
- 음란하지 않을것
- 욕심내지 않을것
② 권고계 (5가지)
-청정 : 몸을 깨끗이 하는 외부의 청정 과 마음의 오염을 제거하는 내면의 청 정이 있다.
-만족 : 필요한 것의 이상을 소유하지 않으려는 것이다.
-고행 : 육체적 고행이 따르는 수행
-독송 : 자재신을 상징하는 성스러운 소 리 “옴”을 염송하거나 경전을 공부 하 는것
-자재신에 대한 기원 : 모든 행위를 최 고신에게 바치는 것 또는 그 기원의 보답을 바라지 않는 것
(2) 육체적 수행단계
①좌법 :확고하고 안락한 자세를 얻기 위한 수행법으로서 긴장을 풀고 마음 을 무한성에 명상함으로써 얻어진다.
②호흡법 :좌법상태에서 마시는 숨과 내 쉬는 숨의 움직임을 정지시키는 것이다.
③감각억제 :감각기관의 억제라는 육체 적인 행법임에도 집중이라는 심리적 수행을 통해 완성된다.
④고행 :극한 상황을 참는 것
-구체적 행법 :극단적 배고픔과 목마름, 추위와 더위, 오래서기와 앉아 있기, ⑤집중 : 마음을 한곳에 고정 하는 것
-대상 :주로 배꼽, 심장, 머릿속의 빛, 코끝, 침묵, 단식 등이 있다.
(3) 심리적 수행단계
①혀끝 또는 외부의 사물로 한다.
②선정 :집중된 대상에 대한 관념이 연 속적으로 흐르는 상태이다.
-다른 관념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는 같은 관념의 흐름이다.
-선정에 의해서 마음에 남아있는 번뇌 의 미세한 작용이 제거된다.
③삼매 :이러한 의식이 있는 한 마음의 작용은 계속되지만 집중한다는 의식도 없이 무의식의 상태가 일어나는 상태 이다.
-그 선정의 대상만이 마음속에서 빛나 서 선정에 든 자신조차 없어진 것과 같은 상태이다.
-선정의 상태가 깊어져서 반성적 사고 가 사라지고 오직 대상만이 홀로 남은 상태이다.
(4) 종합명상과 초능력
①종합명상
-집중, 선정, 삼매의 세단계의 수행이 서로 분리 할 수 없이 하나의 명상법 으로써 의식내부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변화이기 때문에 윤리적 육체적 수행 과 구분하여 내면적인 단계를 통 털어 말한다.
②초능력
-종합명상 상태에서 마음이 외부대상에 영향 받지 않을 때, 마음자체에서는 또 다른 마음의 작용이 일상적인 마음상 태에서는 경험하지 못하는 능력을 말 한다.
-단순한 수동적인 결과가 아니라 자유 의지가 적용되는 동적인 결과다.
(1) 수행요건
①스승에 대한 존경 : 스승에 대한 신뢰 는 수행의 길에서 절대적이다.
②수행자의 조건 :수행자가 가져야할 내 적 요건들
③적합한 수행법 : 자신에게 맞는 수행 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.
④수행의 장애 :수행을 방해 하는 요인 으로 마음의 장애, 향락적 장애, 종교 적 장애, 지적장애 등이 있다.
⑤수행을 위한 계율 :하지 말아야 할 요 인과 적극적으로 해야할 요인의 있다.
⑥음식규정 :소식 혹은 절식이 중요하며 수행에 방해가 되는 음식과 도움이 되 는 음식이 있다.
⑦장소와 시간 :적당한 수행 처와 그 구 조, 그리고 계절과 시간 등에 대한 내 용이다.
(2) 체위법
①아사나 수련
-육체를 통해 마음을 조절하고자 하는 수행법
-인체의 골격, 근육, 신경, 내장 등 온 몸에 영향을 준다.
-궁극적 목적은 프라나의 통로인 나디 와 차크라를 정화시키고 개발하여 잠 재적이고 발전적인 에너지인 쿤달리니 삭티를 일깨우는데 있다.
②체위법의 종류
-인간을 위한 체위법은 셀수 없이 많고 또한 끊임없이 창안 될 수 있다.
-게란타 상히타 에서는 32가지, 하타요 가 쁘라디삐까 에서는 15가지만, 쉬바 상히타 에서는 오직4가지 좌법만 중 요한 체위라고 전하고 있다.
-자신에게 맞는 체위법 만 한다.
-인간의 생리적 구조와 생활습관 등을 고려하면 체위법은 10가지 안팎이면 충분하다.
③수련 방법
-체위법은 서서만 하지 않고 앉거나 눕 거나 엎드리거나 또는 거꾸로 서서 한 다.
-체위법은 한 자세를 취한 체 일정한 시간을 유지한다.
-체위법은 호흡에 맞춰서 하고 때로는 멈춘다.
-체위법은 자신의 내부에 의식을 집중 한다.
(3) 호흡법
①호흡의 패턴
-횡경막 호흡 :폐와 복부를 분리시키 는 근육막인 횡경막의 움직임에서 일 어난다.
-흉식 호흡 :가슴호흡은 늑골 근육의 수축과 팽창으로 인해 일어난다.
-쇄골 호흡 :늑골 팽창의 마지막 단계 이다.
-완전한 요가식 호흡 : 위의 세가지 호 흡이 결합되면 완성된 요가 호흡이다.
②호흡법의 규정
- 적당한 장소
- 적당한 시기
- 적당한 식이법
- 니디의 정화
③무드라와 반다
-무드라 :미묘한 육체적 움직임들의 구 성
ㆍ아사나, 프라나야마, 반다 그리고 시각 화 기법 등의 조합으로 몸 전체 포함 하기도 하며 또한 단순히 손동작만을 의미하기도 한다.
-반다 :프라나의 흐름을 잠그고 조절한 다는 의미
ㆍ목적 :프라나를 특정한 장소에 묶어 두는 것과 프라나마야코샤(에너지 차 원의 몸)의 영적 각성을 위해 프라나 의 흐름을 수슘나 나디로 되돌리는것.
ㆍ물라 반다, 잘란다라 반다, 욷디야나 반다 등의 세가지가 있고 모두 적용하 는 마하반다가 있다.
④주요호흡법(8가지)
-수리아 베다나(태양관통), 웆자이(승 리), 시타카리(싯소리), 시탈리(냉각), 바스트리카(풀무), 바마리(벌소리), 무 르크차(자아상실), 프라비니(부상)
수행법의 비교
구 분
고전요가
하타요가
1) 계 율
(1)야마와 니야마를 통해서 수행의 상 태를 일관되게 유지 할 수 있는 힘을 지니고 더 이상 욕망과 욕구와 마음의 작용이 부정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막 는다.
(2)야마는 윤리적이고 사회적인 계율로 누구나 보편적으로 지켜야 할 것.
(3)니야마는 하나의 유혹을 끊는다는 은 그 만큼 정화 하는 것일 뿐 아니 라 적극적이고 참된 성취를 실현하는 것으로 본다.
(1)육체를 소중히 생각하고 욕망을 무조 건 죄악으로 보거나 억압하지 않는다.
(2)심신의 건강과 아름다음 또는 장수 하기 위한 섭생을 중요하게 생각한다.
(3)야마와 니야마가 수련과정에 생략 되 어 엄격이 지켜야할 대상이 아니라는 견해가 있다.
(4)야마와 니야마가 요가수련의 절대적 토대는 아니라 해도 수련과정에 필요 한 것들이다.
2) 호흡법
(1)프라나야마의 정의
-들숨과 날숨의(통제되지 않은) 움직임 의 중지(멈춤)를 말한다.
(2)프라나야마의 구성
-puraka(숨을 마심) -들이 쉬기는 내 쉬기 후에 안으로 들어오는 숨이다.
-recaka(숨을 내쉼) -내쉬기는 들이 쉬기 후에 밖으로 나오는 숨이다.
-kumbhaka(숨을 멈춤) -들숨과 날숨 의 활동이 멈춤 상태에서 숨을 유지 시키는 기술
(3)프라나야마의 조절을 위한 측정방법
-Desa(위치), Kala(시간단위),
ankhyabhih(수) 의 세 가지가 있다.
(1)프라나야마의 정의
-프라나(호흡, 생명력)의 확장 또는 조 절력을 말한다.
(2)호흡기 패턴
-들숨과 날숨의 호흡기 패턴은 한쪽 코, 양쪽 코 그리고 입을 통한 다양한 방 법을 호흡법에 맞추어 응용한다.
(3)프라나야마의 단계
-초급에서는 땀이 나고 중급단계에서는 떨림이 생기고 최상급 단계에서는 공 중부양 현상이 나타난다.
(4)프라나야마의 생리적 효과
-혈액을 정화하고 주요장기들을 적당히 압력을 가하고 맛사지 하면서 장기와 신경계 전반에 활력을 주고 그 기능들 을 활성화시키고 심신의 안정을 유도 한다
3) 수행법
-명상을 여러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마 다의 심리적 상태를 매우 상세히 설명 하고 있다.
-무드라와 반다는 나타나지 않는다.
-여덟 단계의 수행체계로 정식화되어 있다.
-신체정화 단계가 없다.
-조식의 행법을 모든 신체적 중심에 두 고 있으며 무드라와 반다의 실천이 강 조된다.
-마음수행 즉 명상자체에 대한 언급은 상대적으로 약하다.
-마음의 작용이 사라지는 최고단계인 삼매에 대해서만 언급이 된다.
몇가지 체계로 정식화 되어 있지 않다.
-신체정화는 수행법의 예비단계가 된다.
-호흡을 통제하여 마음의 작용을 없앤 다( 수행의 목적)
고전요가와 하타요가의 차이점
구분
고전요가
하타요가
1) 정의
- 마음작용이 지멸
- 마음을 외계대상에서 내면으로 향하게 하는 것
2) 사상적 배경
- 불교, 상카철학과 밀접한관계
- 탄트라 사상
3) 주요경전
- 요가 수트라
- 하타요가 쁘라디피카, 게란타 상히타,
- 쉬바 상히타
4) 수행법의 이론적 기초
-형이상학적으로 궁극적인 해탈수단은 식별지이며 이것은 의식현상인 마음작 용이 소멸 될 때 일어나는 초이성적인 작용
-주관적 작용하는 마음의 기능을 억제 하기 위 하여는 잠재력을 억제하기 위 한 구체적 행법이고 다른 하나는 욕망 등의 의식작용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금욕적인 윤리이다.
-미묘한 몸의 내적 구조를 설명하는 신 비생리학이다.
-나디 :뿌라나가 움직이는 통로로서 중요 나디는 이다 나디, 삥갈라 나디, 수슘나 나디가 있다.
-짜끄라 :인체의 쁘라나가 응집된 생명력 의 저장소 같은 곳
-7개 짜끄라 :회음짜끄라, 단전짜끄라, 배꼽짜끄라, 심장짜끄라, 목짜끄라, 미간짜끄라, 정수리짜끄라
5) 수행법
-마음과 마음작용, 그리고 마음의 작용 을 없애는 심리학적 중심의 수행법
-완전한 육체를 수단으로 자아를 실현 하는 신체중심의 수행법
6) 수행체계
-심리적 수행법 :응념, 정려, 삼매로 세 분
-삼매를 몇 가지 단계로 나누어 설명
ㆍ유종삼매-유상삼매, 무상삼매
ㆍ무종삼매
-심리학적 기법 실제적 운용
-종합적인 수행체제
-신체적 수행법 :정화법, 좌법, 무드라 와 반다로 세분
-삼매는 곧바로 해탈과 동일시
-생리학 기초한 제 수련법
7) 체위법
-명상을 위한 준비단계
-호흡을 위한 준비단계인 동시에 그 자 체가 목적을 갖는다.
8) 아사나 정의
-편안하고 안정된 자세
-나디와 차크라를 정화하고 개발 하는것
9) 호흡법 정의
-들숨과 날숨(통제되지 않은) 움직임의 중지(멈춤)로 설명
-프라나(호흡, 생명력)의 확장 또는 조절 력을 의미
10) 조식기법
-자세한 설명이 없음
-상세한 설명
11) 수행법의 특징
-세속적인 향락, 부귀, 행복, 사랑 등의
욕망을 제거시키는데 주안점을 둔다.
-심신의 건강과 아름다움 또는 장수하기 위한 섭생을 중요하게 생각하고, 세속적 인 욕망을 통해서 한 차원 높은 경지를 추구한다.
고전요가와 하타요가의 공통점
구 분
공 통 점
1) 수행법의 전제
-고전요가와 하타요가 수행법은 각각 심리적 수행과 신체적 수행을 강조하고 있 지만 두 요가는 몸과 마음 사이의 유기적인 관계에 주목하고 마음을 닦기 위해 서는 몸을 닦는 신체적 수행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공통의 전제를 가지고 있다.
2) 보편적 특성
-요가가 자기수행을 통해서 자기초월에 도달살수 있다는 신념
-요가가 구체적이고 경험적인 지식을 얻기 위한 실천수행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
3) 삼 매
-마음작용이 사라짐으로서 수행자의 자아의식이 사라지고 개체성이 소멸되므로 대상과 주체의 이원성이 사라진 상태
-주관과 대상, 인식과정의 셋이 하나로 되어 주객의 이원적 대립이 사라진 초월적 의식상태 (요가수트라)
-개체적 자아와 우주적 자아가 합일된 평정의 상태, 여기에서는 모든 욕구와 관념 작용이 사라진 상태 (하타요가 쁘라디삐까)
4) 인간관
-우주와 인간이 하나라는 동일성 원리에 기초해 있다.
-이러한 원리에 기초해서 인간을 육체와 정신을 이분법에 따라 보지 않고 육체와 정신으로 이루어지는 경험적, 현상적 자아와 그것을 넘어서는 본질적 자아로 나 누어서 보았으며 본질적 자아야 말로 인간의 참자아 라고 보고 있다
5) 근본원리
-요가수행이란 인간 내에 존재하는 영적에너지를 이용함으로서 인간존재의 가장 낮은 차원에서부터 차례로제어해 나가고 자신 속으로 점점 더 깊이 파고 들어가 장 내밀하고 심오한 곳에 존재하는 인간의 참자아와 만남으로서 삶을 근본적으 로 바꾸어 내려는 실천법